원래 그냥 보면서 잘 깔면 됩니다. 하려고 했으나, 그 애타는 마음이 어느정도 이해가 되는지라, 글을 남깁니다.
EKU에 그대로 쓸까 싶었는데, 스샷 링크도 힘들고 이래저래 글쓰기가 좀 불편해서, 블로그에 게시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현재 게시물에서 크기가 좀 작다 싶은 스크린샷은, 클릭하시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1. 우분투 최신버전을 받는다.
일단 우분투 최신버전을 받습니다.
http://www.ubuntu.com/desktop/get-ubuntu/download
위의 링크를 타고 가시면 됩니다. 우분투 최신버전의 iso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2. VMWare 실행
원래 위 이미지를 CD에 구워서, 하드를 포맷한 후에 설치하는 것이 FM이지만, 사실 현재 개인 컴퓨팅 환경이 윈도우를 벗어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편의상 VMWare에 설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VMWare는 가상 컴퓨터를 에뮬레이션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상용프로그램이지만, 어떻게든 구하실 수 있을 겁니다. 웹하드라거나 토렌트라거나. 돌아다니는 건 많으니까요. 받아서 설치해 주세요. VMWare는 윈도우 프로그램이니 설치하는데 별로 어렵지는 않으실 겁니다. 생략할게요.
설치를 다 하셨으면 실행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겁니다. New Virtual Machine을 선택합니다.
Typical을 선택하고 Next를 누릅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Installer disc image file을 선택한 후,
다운받은 우분투 이미지파일을 선택해줍니다.
적당히 입력해줍니다. 패스워드는 기억해 주시구요.
생성될 머신의 이름을 적당히 지정해주시고, 가상머신 파일이 저장될 위치를 지정해줍니다.
가상머신이 사용할 용량을 결정합니다. 그렇게 많이도 필요없으니 적당히 Next를 누르시고, 설정을 확인하신 후 Finish를 눌러주시면 머신 생성이 끝납니다.
머신 생성이 끝나고 기다리시면 위와 같이 자동으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종료될때까지 기다립니다.
좌 : 마우스로 클릭해서 로그온합니다. 패스워드는 VMWare상에서 입력했던 그 패스워드입니다.
우 : 기본 화면입니다. 우분투의 GUI 입니다.
좌상단의 Applications -> Accessories 에 가보시면 Terminal이 있습니다.
클릭하셔서 실행합니다.
창이 하나 뜰텐데, 이것이 터미널입니다.
(Username)@ubuntu:~$
다음에 커서가 깜박이고 있을 텐데, 여기서 다음을 입력해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으 역시 잘 되는데 안되시는 분은 이유를 모르겠네요)
좌 : 터미널상에서 위의 명령을 입력합니다.
중 : 패스워드를 묻습니다. 로그인시 사용한 패스워드를 그대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하실 점은, 타이핑을 해도 * 나 . 등으로 자신이 타이핑한 것을 표시해 주지 않습니다. 타이핑을 해도 화면상에 나타나지 않습니다만, 입력은 정상적으로 되고 있는 것이니 패스워드를 정확하게 입력하신 후 엔터를 칩니다.
우 : 중간에 설치를 계속하겠냐고 묻습니다. y를 쳐주시면 이 화면과 같이 알아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 기본화면으로 돌아옵니다.
gcc설치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예제 프로그램 하나를 컴파일해보겠습니다.
터미널상에 gedit을 입력합니다.
gedit은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메모장과 똑같으니 사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위와 같이 텍스트 에디터 하나가 뜹니다. 적당히 hello world 프로그램을 작성해주신 후, 저장합니다.
아 그리고 위의 스크린샷에서는 실수가 하나 있었는데, 저장을 하실 때 파일명에 확장자까지 입력을 해 주셔야 합니다. 완료하셨으면 빠져나옵니다.
이제 위 스크린샷에 나오는 것과 같이 입력해줍니다.
여기서 ls는 현재 자신이 위치한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 밑 하위 디렉토리를 표시해주는 명령어입니다. hello.c 파일이 제대로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확인 후
gcc -o hello hello.c
./hello
커맨드를 입력하여 제대로 Hello World 가 출력되는지 확인합니다.
제대로 출력되었다면 gcc가 정상적으로 인스톨된 것입니다.
이제 GCC가 제대로 설치되었으므로 다음의 커맨드를 입력하여 flex와 bison을 설치합니다.
bison은 사실 이번 프로젝트만 하실 것이라면 따로 설치하실 필요는 없습니다만, 오래 걸리지는 않으니 한꺼번에 해 보도록 하죠.
sudo apt-get install flex
sudo apt-get install bison
역시 build-essential 을 설치했을 때와 비슷한 화면이 나오고 설치가 완료됩니다.
이제 리눅스상에서 이번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 밑준비는 모두 끝난 겁니다.
여기서 아예 리눅스 초보분들을 위해서 정말 가장 기본적인 쉘 명령어들을 몇가지 알려드립니다.
아래만 아시면 일단 대충 사용하시는 데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ls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 밑 하위 디렉토리를 보여줍니다.
여러가지 옵션을 뒤에 줄 수 있는데, 이를테면 a 옵션은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보여주는 옵션이고, l옵션은 각 파일의 속성을 보여주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ls -al 이라는 식으로 입력을 하게 되면, 해당 폴더의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속성까지 보여줘라. 라고 하는 명령어가 되겠네요.
ls명령어를 실행하셨을 때, 일반 파일은 그냥 회색, 디렉토리는 파란색, 실행가능한 파일은 초록색으로 색깔이 구분되어 표시됩니다. 참고하세요.
pwd 현재 자신이 위치한 곳의 경로를 보여줍니다.
cd (Directory) 입력한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cd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주의 : cd를 입력할 때 디렉토리명, .. 은 cd와 한칸 띄워 주셔야 작동합니다.
./(Filename) 해당 파일을 실행합니다. 실행가능 옵션이 파일에 주어져 있어야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PATH가 지정되어 있는 파일은 ./ 를 붙이지 않고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파일을 실행할 때, 그 파일이 위치한 절대경로를 전부 써 주어야 하는데, ./가 가지는 의미는 .은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신이 현재 /home/nurlonn 디렉토리 안의 hello 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싶다고 하고, 현재 자신의 위치가 /home/nurlonn이라고 한다면, ./hello 라고 타이핑을 하는 것은 /home/nurlonn/hello 라고 타이핑하는 것과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는 말입니다.
결국 . 이 현재 자신이 위치한 디렉토리까지의 경로를 일일히 입력할 필요 없이 알아서 넣어라. 라고 하는 게 되겠네요. PATH가 지정되어 있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은, 절대경로가 미리 환경 변수로 지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일의 절대경로를 미리 타이핑할 필요 없이 그냥 파일명만 써주면 자동으로 해당 경로를 찾아서 실행이 되는 것입니다.
gcc라는 컴파일러를 그냥 실행할 수 있는 것도, gcc가 설치된 위치가 자동적으로 환경 변수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gcc 컴파일러가 설치되어 있는 경로를 전부 지정해주지 않고도 gcc 컴파일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이제 다시 GUI로 돌아가서 프로젝트에 필요한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위의 메뉴 바에 보시면 파이어폭스 아이콘이 있죠. 그걸 클릭하시면 위와 같이 파폭이 실행됩니다. 포탈에 로그인해서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아 화면이 작아서 불편하시면, 위의 System -> Preferences 메뉴의 Monitors를 선택하셔서 적당히 해상도를 키워 주시면 됩니다.
다운을 받았는데 어디에 위치되었는지 잘 모르실 겁니다.
기본 경로는 /home/Downloads 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리눅스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터미널(쉘) 상에서 무언가를 한다는 것이 부담스러우실 겁니다. 따라서 GUI에서 할 수 있는 건 GUI에서 끝내도록 하죠. 상단 메뉴 바의 Places를 클릭해보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겁니다.
여기서 직접 Downloads를 클릭하셔도 되고, home folder를 선택하셔도 됩니다. 이러나저러나 윈도우 탐색기랑 거의 인터페이스가 흡사하니 사용하기는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다운받은 파일이 있는 위치로 이동해서 다운받은 파일을 우클릭해 보세요.
Extract Here 라는 항목이 있을 겁니다.
클릭해주면 자동으로 압축이 풀립니다.
이제 다운받은 파일과 flex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보죠. 다시 터미널로 돌아갑니다.
일단 해당 디렉토리까지 이동해야죠.
여기서 한가지 팁이 있습니다. 밑에서 해당 디렉토리명을 전부 입력할 필요 없이, 앞의 두세글자만 입력하시고 Tab 키를 누르시면 자동으로 가장 적합한 폴더명을 완성하여 입력해줍니다. 편하니까 사용해보세요.
cd Downloads
cd LEX_FILES
cd LEX\ Examples
flex example1.l
cc lex.yy.c -o exam -lfl
./exam
여기까지 수행한 스크린샷입니다.
아래와 같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겁니다.
자 이제 플렉스도 설치되었고, 정상동작도 확인했으니, 프로젝트를 시작해 주시면 됩니다.